본문 바로가기
동물의 모든 것/포유류

바다표범의 모든 것(체구, 특징, 천적 등)

by 모든 궁금증 2023. 12. 30.
반응형

바다표범의 체구, 체형

몸의 크기는 분포와 관계가 있는데, 먹이가 풍부한 남극해에 분포하는 종은 대형으로 몸길이 2.8~4.4m, 몸무게 0.6~3.2t에 달한다. 소형종은 몸길이 1.2~1.3m, 몸무게 50~60kg으로, 대형과 소형 사이의 차이가 크다. 머리는 둥글고 귓바퀴는 없다. 앞발은 앞쪽을, 뒷발은 뒤쪽을 향하고 있는데, 마치 사람이 손발을 늘어뜨린 모양과 같아서 땅 위에 오르면 걸어 다닐 수가 없으므로 기어 다닌다.

바다표범의 번식

번식은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번식 기간은 해빙번식종이 3~4월, 육상번식종이 5~6월이다. 번식기에는 수컷끼리 싸우지만 큰 하렘을 만들지는 않는다. 대부분 혼자 살면서 번식기에만 만나서 흩어지지만 종류에 따라선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암컷의 무리에 합류하여 번식한다. 많은 종들이 한 달 남짓 짧은 육아를 한다. 하프물범의 어미는 생후 12일 된 새끼를 빙하 위에 내버려 두고 바다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바이칼물범처럼 장기간 육아를 하는 종도 있다.

바다표범의 아종

바다표범과의 분류는, 과거에는 모피의 모양과 분포지역 등에 따라 많은 신종이나 아종·변종과 같은 학설이 많아서 혼란이 심했으나, 현재는 두개골을 위주로 한 골격에 의한 분류법으로 11속 19종이 알려져 있다.

분포는 3개로 대별되는데, 첫째 북극해의 한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분포되어 있는 그룹으로, 북극해로부터 태평양에 걸쳐 서식하는 참깨점박이바다표범·턱수염바다표범·고리무늬바다표범·흰띠박이 바다표범과 대서양에 사는 회색바다표범·두건바다표범·하프바다표범 등이다.

둘째 열대지방에 사는 몽크바다표범으로서, 이 무리들은 3종류로 나뉘지만 형태는 아주 비슷하다. 이 종류는 분포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는데, 지중해에 분포되어 있는 것이 선조로서 조류나 바람에 의하여 마리프해(海)에 운반되어 그 당시 바다라고 생각되었던 파나마 지방을 넘어서 하와이까지 분포되었다는 학설도 있다. 그러나 현재는 각각 정주하여 3종 사이의 관련성이 멀어진 까닭에 독립된 종으로 보고 있다. 또 북방코끼리바다표범은 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의 아열대지방에,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은 남위 30~70°의 섬과 섬을 회유하며 살고 있다.

셋째 남극바다표범무리로서 게잡이바다표범·레오퍼드바다표범·로스바다표범·웨테르바다표범이 있다. 그 밖에 바이칼호에만 살고 있는 바이칼바다표범과 카스피해의 카스피바다표범은 전혀 다른 종류다.

바다표범의 특징

네 발이 모두 털로 덮여 있으며 발톱이 발달하였다. 보통 앞발은 첫째 발가락이 제일 길고, 다섯째 발가락 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뒷발은 첫째와 다섯째가 길고 중앙의 셋째 발가락은 짧다. 헤엄칠 때에는 좌우의 발바닥을 서로 합쳐서 마치 물고기의 꼬리지느러미와 같은 운동을 하면서 전진한다. 이빨은 날카로워서 먹이를 자르는 데 적합하다. 어류·갑각류·연체동물을 즐겨 먹으며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감각기관은 주로 수염에 의존하는데, 매우 예민하고 중요하기 때문에 일정한 적정 온도를 유지한다.

 

비록 토실토실한 몸으로 꿈틀꿈틀 기어 다니고 마치 작은 강아지를 닮은 큰 눈과 귀여운 얼굴을 하고 있어서 온순해 보이지만 사냥본능은 상당히 포악해서, 돌고래뿐만 아니라 심지어 작은 상어까지 잡아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바다표범의 천적

바다표범의 천적은 상어, 북극곰, 북극늑대, 범고래가 있으며, 특히 범고래는 바다표범으로 공놀이를 하는 걸로 유명하다.

 

2023.12.29 - [동물의 모든 것] - 지상에서 제일 빠른 동물 치타의 모든 것(체구, 서식지, 아종, 특징)

반응형

 

반응형